분류 전체보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THE TEAM "공동목표를 지닌 두 사람 이상의 구성원으로 이루어진 집단" 좋은 팀이란 무엇인가. 어떤 팀이 탁월한 성과를 내는가. 책은 목표설정, 팀 구성, 소통, 의사결정, 공감을 주제로 이야기한다. 저자는 Rink and Motivation에서 컨설팅 책임자로 있으며 적용해온 모티베이션 엔지니어링에 대해 이야기한다. 위 5가지 주제에 대해 정답이 있으면 좋겠지만 팀운영에는 실버 불릿이 없다. 저자는 팀의 종류를 크게 4가지로 나뉘는데 위와 같다 각 팀의 유형에 따라 팀이 취해야 할 전략이 달라진다. 그렇기 때문에 확실하게 말해준다는 느낌은 적은 책이다. 여러 경영서를 읽어오면서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부분은 결국 모티베이션이다. 팀원들에게 동기부여를 할 수 있는가이다. 이 책에서 우리 팀에 부족한 여러 부분을 알 수.. 더보기 인식, 인정 그리고 수정 나는 부모의 모국어로 부터 벗어나고 싶다. 나는 나의 아버지가 세상에저 제일 싫었고 죽었으면 좋겠다고 몇번이나 생각했다. 그러나 이제 지금 내가 말하는것 주변인물을 대하는 모습은 아버지와 그것과 다른점을 찾기 힘들다. 그러니 이제는 내 모국어를 바꾸고싶다. 모국어를 바꾸기 3개의 단계로 진행된다. 인식 객관적으로 아버지의 모습은 인식해야한다. 아버지는 자주 술에 취해 집에 들어와 어머니에게 주먹을 휘둘렀다. 어버지는 열등감에 가득차있었고 그 열등감을 집에서 플려고하였다. 아버지는 회사에서 무시당한 분을 집에서 풀려고하였고 우리 가족위에 군림하여고했다. 아버지는 누구 하나 자신에게 대들려하거나 말을 안들으면 폭력을 사용했다. 아버지는 언제나 부정적으로 살아왔다. 아버지는 취미도 하나없고 남의 눈만 신경쓰며.. 더보기 MUJI 무인양품의 생각과 말 MUJI 무인양품의 생각과 말 무인양품을 운영하는 양품 계획의 철학과 사상에 관한 말한다 화사는 가장 핵심이 되는 사상이 있고 그 밑에 대 전략이 존재한다 그 밑에 어떤 회사가 되겠다느 비전과 목표가 존재하며 이를 이루기 위해 필요한 아이디어와 구조가 필요하다. 이러한 아이디어와 구조는 양심과 창의력, 철저함을 갖춘 현장에서 구체화가 된다. 이러한 무인양품의 대전략은 '도움이 되자'이다 사람에게 사회에게 공동체에게 도움이 되는 방법을 대전략으로 삼는다. 실제 새로운 제품을 개발할 때마다 그것이 어째서 MUJI인가를 질문한다고 한다. 내가 이직을 한다면 이런 회사에 가고 싶다. 명확하고 매력적인 사상과 대전략 밑에서 일일이 통제하지 않더라도 체계적으로 움직이는 책에서는 물고기 때에 이를 비유한다 물고기는 .. 더보기 세계관이 충돌한다. 회사에 출근해서는 눈치나는 동료들에게 사기꾼이니 협잡꾼이니 욕지거리를 하고 퇴사를 꿈꾼다. 하지만 이내 집을 사고 일을 하고 결혼을 하는 친구들를 생각하면 퇴사후의 내 모습은 너무 초라하다. 다들 계산기를 두드린다. 다들 어렵고 더러운 상황에 놓이더라도 계산기를 두드린다. 무엇이 나에게 이득인가 관둬야하나 이직을 해야하나 계산기는 바쁘다. 내 계산기는 고장이 난것인지 도무지 작동하지 않는다. 그냥 상사와 동료에게 당신들은 모두 사기꾼이라 말하고 퇴사하고 싶다. 그러면 난 계속 나쁜 소문들이 따라다닐것이다. 그러면 난 다른 회사에 이직하기 힘들 것이다. 그러면 난 계속 무직으로 있다가 전세 이자도 감당하기 힘들어 고향으로 내려갈것이다. 그러며 난 알바나 하면서 부모님집에 얹혀살게될것이다. 그러면 난 집을 .. 더보기 거울 거울 나를 비춘다. 거울안에 있는 건 분명 나의 모습이지만 나는 아니다. 그러나 거울 안의 모습으로 나는 머리를 고친다 옷을 바꿔입는다. 자세를 고친다. 이 사이에 낀걸 빼낸다. 거울 그건 나는 아니지만 나의 모든것을 대표한다. 요즘 종종 나를 화나게 하는것들이 나의 거울이라는 생각이 든다. 나를 화나게 하는 팀장의 모습 위에 내 평소 모습이 겹쳐서 보일때가 있다. 생각없이 말하고 같이 일하는 사람 막대하고 고집세고 자기만 생각하고 그런 팀장밑에서 돌아가는 이 조직이 너무 싫어서 퇴사를 생각중인데 오늘 문득 이 조직도 내 거울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조직은 작은 조직이다. 작은 조직의 장점은 빠르고 잦은 의사소통이다. 덩치가 큰 조직보다 쉽게 정보공유와 의사결정이 가능한것이다. 그런데 이 조직은 독단적.. 더보기 Rule of the game 게임에는 규칙이 있다. 플레이어들은 모두 규칙안에서 행동한다. 게임을 이기기 위해선 규칙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규칙을 가장 잘 이해하는자가 게임을 지배한다. 말그대로 지배한다. 게임을 자신이 원하는데로 다룰 수 있다. 이는 자존감으로 이어진다. 내가 하고있는일을 내가 핸들링할 수 있다는 확신이 자존감을 높인다. 나는 이 세상의 규칙을 이해하려고하지 않았다. 규칙을 지키고 사는 사람들을 바보 취급했다. 그들이 보이지 않는 규칙때문에 눈치를 보며 취직하고 이직하고 눈치보고 야근하고 모든 행동들을 이해할 수 없었다. 그러다 친구가 집을 사고 결혼을 하고 여자친구를 사기고 청약이되고 그제서야 그 친구들이 룰을 지키며 자신의 목적을 이루기위해 노력한 결과들이 보여서야 그들의 좋은 소식을 내 귀로 들어서야 나는 .. 더보기 타이머 만들기 이번에도 멤버함수 실습과 관련해서 타이머 제작을 해볼게요 #include #include "ecourse.hpp" using namespace std; using namespace ecourse; void foo(int id) { cout 더보기 아메리칸 히스토리 X 아메리칸 히스토리 X 차별이라는 골자는 오래되었고 골치가 아프며 쉽지 않다. 이 영화는 우리나라의 남녀 차별을 떠올리게한다. 인종차별이라는 주제가 어려운것은 얼핏보면 양쪽 다 맞는 말인것 같기때문이다. 영화도 데렉의 과거를 보여주며 이런 부분을 시사하는 듯하지만 실상은 분노에서 나온 인종차별이 얼마나 바보같고 한심한짓인지 알려준다. 영화를 보고 2가지 사실에 매우공감했다. 첫번째로 현 우리나라의 남녀차별의 벽이 영화의 유색인종과 네오나치와의 관계와 비슷하게 느껴졌고 두번째로 회사 상황에 언제나 화가 나있는 나의 모습이 데렉의 모습과 겹쳐보였기때문이다. 데렉에게 화를 낼 이유는 있었지만 화만 내서는 결국 바보같은 결정을 하게된다. "네가 한 행동이 네 삶을 좋게 만들었니?" 영화의 대사가 머리에 멤돈다. ..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 8 다음